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ArrayList
- string
- Eclipse
- table
- IntelliJ
- 자바스크립트
- 인텔리제이
- 테이블
- js
- 문자열
- date
- Button
- 정규식
- vscode
- Java
- windows
- 자바
- CMD
- CSS
- 이클립스
- 배열
- input
- json
- Maven
- list
- 이탈리아
- javascript
- html
- Array
- Visual Studio Code
- Today
- Total
목록2017/01 (9)
어제 오늘 내일
표를 그리다 보면,가로열과 세로열의 제목을 표시하기 위해셀 안에 대각선을 그려야 할 때가 있습니다. 이번에는 엑셀의 한 셀안에 사선, 즉 대각선을 넣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엑셀에 사선(대각선) 입력하기 1. 사선을 입력할 셀을 선택하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고, [셀 서식]을 선택합니다. 2. [테두리 탭]을 선택하고,테두리 영역 미리보기에 나타는 그림을 보면서오른쪽 하단과 왼쪽 하단에 있는 대각선을 선택하여원하는 방향의 대각선을 그립니다.선의 모양이나, 색도 설정할 수 있습니다. 3. 왼쪽 상단에서 오른쪽 하단으로 이어지는 사선이 셀 안에 그려졌습니다. 4. 그렇다면 여기에 내용을 입력해 보겠습니다.한 셀안에, 두 열의 내용을 작성하기 위해 '입력1'을 첫번째 열에 작성하고, ALT+Enter..
이번에는 엑셀의 기능을 이용하여간단하게 화면을 캡쳐하고, 스크린샷을 저장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기능은 엑셀 2010 버전부터 적용되었습니다.) 엑셀에서 스크린샷 저장하기, 화면 캡쳐하기 1. [삽입 - 일러스트레이션 - 스크린샷 - 화면 캡쳐] 메뉴를 선택합니다. 2. 아래와 같이 엑셀 창 아래에 뜨워진 화면이 보여집니다.이때, 이 화면은 캡쳐 가능한 영역을 선택해야 한다는 의미로 약간 흐릿하게 보여집니다. 3. 여기서 검색 창만을 캡쳐하기 위해해당 영역을 마우스를 드래그 하여 선택합니다. 4. 곧 바로, 엑셀 창에 선택한 영역의 이미지가 캡쳐되어 삽입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엑셀에 스크린 샷을 저장해야 할 경우,별도의 스크린 샷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도,엑셀의 스크린 캡쳐 기능을 이용..
지난 번에는 엑셀에 메모를 삽입/삭제, 숨기기, 보이기, 자동크기 설정하는 방법 등엑셀에서 메모를 사용하는 방법들을 알아보았습니다.[Excel] 엑셀에 메모 삽입, 삭제하기[Tools/Excel] - [Excel] 엑셀 메모 자동크기 설정하기[Tools/Excel] - [Excel] 엑셀 메모 보이기, 숨기기 이번에는 이렇게 입력한 엑셀의 메모를 프린터로 출력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먼저 아래와 같이 메모가 입력된 엑셀 시트를 준비합니다. 2. [파일 - 인쇄] 메뉴를 선택하여 미리보기 합니다.입력된 메모는 인쇄되지 않는 것 같습니다. 엑셀 메모 인쇄하기 인쇄물의 끝에 메모 인쇄하기1. [페이지 레이아웃 - 시트옵션 - 더보기] 메뉴를 선택합니다. 2. [시트]탭을 선택하고, [메모] 항..
지난번에는 엑셀에 메모를 삽입하고,삽입한 메모의 창 크기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Excel] 엑셀에 메모 삽입, 삭제하기[Excel] 엑셀 메모 자동크기 설정하기 이번에는 작성된 메모를 보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메모 셀에 마우스 커서 가져다 놓기메모가 입력된 셀의 오른쪽 상단에는 아래와 같이 붉은 색 세모가 표시됩니다.아래에는 메모가 입력된 칸이 3개가 있군요. (B3셀, B4셀, B5셀) 1. 메모를 보기 위해서는 메모가 입력된 셀에 마우스 커서를 가져가면 메모가 나타납니다.마우스 커서를 셀 밖으로 가져가면 메모가 사라집니다.그런데, 이건 살짝만 마우스를 움직여도 메모가 사라지니 불편합니다.다른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메모 표시/ 숨기기 메뉴 이용하기1. 메모가 입력된 셀을 선택..
지난번에는 엑셀에 메모를 삽입하고, 삭제하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Excel] 엑셀에 메모 삽입, 삭제하기 아래 메모에는 빈 여백이 많습니다.이 메모의 크기를 마우스를 드래그 하여 조정해도 되지만,나중에 메모의 내용을 추가하거나 삭제할 경우 크기를 다시 조정해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삽입된 메모의 창 크기를 자동으로 조정되도록 설정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메모 자동크기 설정하기1. 메모의 테두리에 마우스 커서를 가져가면 아래와 같은십자가 모양의 마우스 커서가 나타납니다. 2. 그 위치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고,[메모 서식] 메뉴를 선택합니다. 3. [맞춤] 탭을 선택 한 후, [자동 크기] 항목을 선택합니다. 4. 내용에 맞게 메모 창의 크기가 조정되었습..
엑셀의 셀에 추가적인 정보를 입력하고 싶을 때엑셀의 메모 기능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메모는, 엑셀의 셀 내의 데이터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우리가 노트에 붙이는 포스트잇과 비슷하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그럼 엑셀에 메모를 삽입하고, 삭제하는 방법을 알아볼까요? 메모 삽입하기1. 아래와 같은 휴가 준비물 준비 여부를 표기하는 목록에 메모를 추가 해보겠습니다. 2. 메모를 추가할 셀을 선택 한 후,[검토 - 메모 - 새 메모] 메뉴를 선택합니다. 3. 선택한 셀에 메모를 입력할 수 있는 창이 나타납니다.첫 줄에는 진한 색으로 작성자 명이 자동으로 표시됩니다. (작성자 명은 삭제해도 괜찮습니다.)나머지 영역에 메모 내용을 입력합니다. 메모 삭제하기작성한 메모를 삭제하고 싶다면?메모 삭제하기는 간단합니다. 메..
워드에 글자를 입력할 때 글자 사이에 점을 찍어야 할 때가 있습니다. 워드에는 홈 · 삽입 · 디자인 등의 메뉴가 있습니다.이렇게 말입니다. 하지만, 키보드에는 이런 기호를 입력하는 자판이 없습니다.이번에는 워드에서 위와 같이 글자 사이를 구분하는 점을 찍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특수문자 입력하기1. 아래의 내용에 '커피의 산지'와 '품종' 사이에 점을 찍어보도록 하겠습니다. 2. 커서를 점을 찍을 위치에 두고, [삽입 - 기호- 다른 기호] 메뉴를 선택합니다. 3. 기호 대화 상자가 나타나면,[기호 - (현재 글꼴)] 을 선택하고, 가운데 점 모양의 기호를 찾아더블 클릭하거나, 선택 후 하단의 [삽입] 버튼을 클릭 후,[닫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4. '커피의 산지'와 '품종' 사이에 가운데 점..
저는 보통 노트북을 이용할 때키보드 입력은 노트북의 키패드를 이용하고,마우스는 노트북의 키패드 대신 따로 마우스를 연결하여 사용합니다. 노트북의 키패드를 이용하여 문서를 작성하다보면손이 자꾸 터치패드에 닿아서 마우스가 제멋대로 움직이거나 오타를 입력하게 되기도 합니다. 이럴때는 노트북의 터치패드가 동작하지 않도록 잠금 설정해 주면 됩니다.제 노트북은 삼성 노트북이고, 운영체제는 윈도우10(Window 10)을 사용 중이므로이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삼성 노트북 터치패드 잠금 설정하는 2가지 방법 (윈도우 10 기준) 단축키 이용하기가장 간단한 방법입니다. 키보드의 [Fn + F5] 버튼을 동시에 누릅니다.이때, Fn키를 먼저 누른 상태에서, F5 키를 입력하면 쉽게 입력할 수 있습니다. 위와 같..
설민석의 조선왕조실록 설민석의 조선왕조실록국내도서저자 : 설민석출판 : 도서출판세계사 2016.07.25상세보기 요사이 베스트 셀러 순위권에서 내려 오지 않는 책이다.책 제목과 표지는 정말 재미없을 것 같았는데,너무 재미있어서처음부터 끝까지 쉬지 않고 읽어 내려갔다. 조선왕조실록조선의 왕들이 교체 될 때마다 편찬한 역사서.조선왕조실록은 왕이 승하하면, 실록청을 임시로 만들고, 이 실록청에서 역사서를 편찬했다.이 실록은 절대 왕이 볼수 없었다고 한다. 선대왕의 기록을 후대왕이 본다면, 아버지의 업적을 또는 자신이 몰아낸 정적의 업적을 바꾸고 싶을테니까.그러면, 그 역사서는 더이상 공정할 수는 없을 테니까.물론, 역사는 승자의 역사이기 때문에, 아무리 왕이 기록을 볼 수 없다하더라도권력의 입김이 미치지 않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