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vscode
- 정규식
- html
- Array
- 이탈리아
- 문자열
- 자바
- string
- javascript
- 인텔리제이
- CSS
- input
- 이클립스
- table
- Button
- Eclipse
- ArrayList
- map
- date
- windows
- js
- json
- Visual Studio Code
- 배열
- Java
- 자바스크립트
- CMD
- list
- IntelliJ
- set
- Today
- Total
어제 오늘 내일

재택근무를 계기로 장만한 스테인리스 모카포트 비알레띠 비너스 2컵. 매일매일 나를 위해 열심히 커피를 맛있게 내려주고 있는 고마운 녀석이다. 원래 모카포트는 세제를 사용하지 않는 거라고 해서 (세제 냄새가 모카포트에 배어서, 커피맛을 해칠수 있기 때문에) 항상 물로만 세척을 했었는데, 오늘은 오랜만에 본격적으로 세척을 해보기로 했다. 준비물 물 베이킹소다(또는 식초) 먼저 밑에 있는 보일러에 물을 채우고, 베이킹 소다 투입! 국민 수저인 베스킨라빈스 스푼을 이용하였다. 바스켓을 넣고, 컨테이너를 닫고, 끓이기 시작했다. 이러면, 커피를 내릴 때처럼 보일러에 담긴 베이킹소다 물이 컨테이너로 올라오면서 세척이 될거라고 생각했지만... 물은 올라오지 않고...... 생각해보니, 뭔가 압력이 있어야 보일러의 물..

이전 글에서 React에서 주로 사용하는 webpack과 babel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React] babel과 webpack의 차이 [React] babel과 webpack의 차이 React의 개발 환경을 구성하려면, 여러가지 도구들이 필요하고, 이 도구들에 대한 설정을 해 주어야 한다. 대표적으로 webpack + babel 설정을 해 주어야 한다. webpack : JavaScript의 static module bundler bab.. hianna.tistory.com Create React App 이란? React 개발 환경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대부분 위 2가지 도구에 대한 설정이 필요하고, 이 외에도 다양한 개발 환경 설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설정을 간단하게 대신 해주는 것이 CREATE-R..

React의 개발 환경을 구성하려면, 여러가지 도구들이 필요하고, 이 도구들에 대한 설정을 해 주어야 한다. 대표적으로 webpack + babel 설정을 해 주어야 한다. webpack : JavaScript의 static module bundler babel : JavaScript Compiler (Transpiler) babel babel은 Javascript의 compiler라고 할 수 있다. Java나 C의 컴파일러처럼, 소스코드를 바이너리 파일로 변환하는 것은 아니지만, 아래와 같이 React의 JSX문법을 Vanilla JavaScript로 변경하거나, 최신버전의 문법을 구 버전 문법으로 변환해 준다. JSX 를 Vanilla JavaScript로 변경해 준다. React에서는 JSX라는 R..

Java에서 사용하는 명령어인 java 와 javac의 차이점을 소개합니다. 1. javac javac 명령오는 텍스트 파일로 작성된 java 파일을 bytecode로 컴파일 합니다. 컴파일된 파일은 '.class' 파일로 저장됩니다. 위 예제에서는 Main.java 파일을 javac 명령어를 이용하여 컴파일 하였습니다. 컴파일 후 Main.class 파일이 생성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2. java java 명령어로는 javac 명령어로 컴파일한 '.class' 파일을 실행시킬 수 있습니다. Main.java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ystem.out.println("Hello Anna"); // abc } }..
CSS는 Cascading Style Sheets의 약자로 웹페이지의 레이아웃, 폰트, 색상 등을 지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HTML에 CSS를 적용하는 방법은 3가지가 있습니다. 1. inline 2. internal 3. external 1. inlne HTML 태그 안에 직접 CSS 속성을 적용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style이라는 속성을 사용합니다.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2. inaternal HTML 파일안에 이라는 태그를 이용하여 그 안에 CSS 속성을 지정하는 방법입니다.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위 예제는 cssfile.css 파일을 따로 작성하여 저장하고 HTML 파일에서는 line 태그를 이용하여 작성한 파일을 링크하였습니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CSS 파일 하나를 작성하여 여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