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자바스크립트
- CSS
- javascript
- input
- ArrayList
- Visual Studio Code
- windows
- json
- Files
- Maven
- 이탈리아
- 자바
- html
- table
- 인텔리제이
- 이클립스
- Array
- CMD
- Button
- Eclipse
- date
- 테이블
- 배열
- Java
- js
- vscode
- list
- 문자열
- IntelliJ
- string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852)
어제 오늘 내일
border-color table/tr/td 태그에 border-color 속성을 이용하여 테이블의 테두리 색상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border border는 테두리의 너비, 스타일, 색상을 지정할 수 있는 단축 속성입니다. border 속성 안에 다음과 같은 속성을 한번에 지정할 수 있습니다. border-width border-style border-color border 속성으로 border-color로 지정할 수 있으므로, border 속성을 이용해도 테이블의 테두리 색상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border-color 속성 사용해서 테두리 생상 지정하기 이름 나이 Anna 20 Tina 22 table, td, th { border-width: 1px; border-style: solid; b..
마우스로 텍스트 영역을 드래그했을 때, 선택된 부분의 배경색과 글자색을 변경하는 방법입니다. ::selection ::selection은 사용자가 마우스로 드래그하거나 클릭하여 선택한 텍스트 영역에 스타일을 적용할 수 있는 pseudo-element(의사 요소)입니다. ::selection { color: red; background-color: yellow; } ::selection 하위에는 다음의 속성을 정의할 수 있습니다. color background-color text-decoration text-shadow -webkit-text-stroke-color, -webkit-text-fill-color, -webkit-text-stroke-width 드래그 영역 글자색, 배경색 변경하기 이 영역을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Qe5ms/btsBC4T3KK1/pIRnqW07m4nBAbGvMckk70/img.png)
인텔리제이에서 간단한 설정으로 마우스 휠을 이용해서 에디터의 폰트 크기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File > Settings > Editor > General > Change font size with Ctrl+Mouse Wheel in 위 메뉴로 이동하여, 'Change font size with Ctrl+Mouse Wheel in' 항목을 선택하고, Apply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리고, 에디터 창으로 이동하면 'Ctrl + 마우스휠'을 이용하여 에디터의 글씨 크기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Active editor : 활성화된 에디터의 글씨 크기만 변경됩니다. All editors : 모든 에디터의 글씨 크기가 변경됩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tsKcg/btsBKg5UIGC/aexIMaYdA4Ca0oZfcFBK9K/img.png)
인텔리제이에서 콘솔창이 사라질 경우 콘솔창을 띄우는 방법입니다. View > Tool Windows > Terminal (Alt + F12) 위 메뉴 또는 단축키를 이용하면 다음과 같이 터미널이 하단에 나타납니다.
지난번에는 CSS에서 첫 번째 요소만을 선택하는 법과 마지막 요소만을 선택하는 법을 알아보았습니다. [HTML/CSS] 형제 요소 중 첫번째 요소 선택하기 (:first-child) [HTML/CSS] 형제 요소 중 마지막 요소 선택하기 (:last-child) 이번에는 반대로 첫번째 또는 마지막 요소를 제외하고 나머지 요소를 선택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not(selector) :not(selector) 선택자를 사용하면 selector로 선택된 요소를 제외한 나머지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 요소를 제외하고 나머지 선택하기 (:not(:first-child)) 첫번째 두번째 세번째 마지막 .my { background-color: yellow; } .my:not(:first-chil..
지난번에는 ':last-child' 선택자를 이용하여 형제 요소 중 마지막 요소를 선택하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HTML/CSS] 형제 요소 중 마지막 요소 선택하기 (:last-child) :first-child CSS에서 ':first-child' 선택자를 이용하여 형제 요소 중 첫번째 요소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첫번째 두번째 마지막 .my { background-color: yellow; } .my:first-child { background-color: skyblue; } .my:first-child 예제에는 'my'라는 클래스명을 가지는 3개의 형제 div가 있습니다. 이 중 가장 첫 번째 div를 선택하기 위해서 먼저 my클래스를 선택하고, :first-child 선택자를 사용하여, 이 ..
CSS의 선택자 중 자식 요소(부모 요소 바로 하위의 요소), 자손 요소(부모 요소 하위의 요소, 바로 하위가 아니어도 된다)를 선택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자식 요소 선택하기 ( '>' ) 부모 요소 바로 하위의 자식 요소를 선택하기 위한 결합자로 '자식 결합자(Child Combinator)'라고 합니다. 부모선택자 > 자식선택자 위와 같은 형식으로 사용하며, 부모 요소 바로 하위의 자식 요소를 선택합니다. 자식요소1 자식요소2 자손 div > h5 { background-color: yellow; } div > h5 div 요소 바로 하위의 h5 요소만 선택합니다. 자손 요소 선택하기 ( ' ' ) 보통 한 칸의 공백 문자로 표현하는 '자손 결합자(Descendant Combinator)..
:last-child CSS의 :last-child 선택자를 이용하여 형제 요소중 마지막 요소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첫번째 두번째 마지막 .my { background-color: yellow; } .my:last-child { background-color: skyblue; } 위 예제는 'my' 라는 클래스명을 가지는 3개의 형제 div 요소가 있습니다. 이 3개의 형제 요소 중, 마지막 div 요소를 선택하는 예제입니다. 'my'라는 클래스를 가지는 div 영역은 배경색이 모두 노란색입니다. 이중, 마지막 div 영역만 하늘색으로 표시하기 위해서, .my:last-child 선택자를 사용하여, 배경색을 하늘색으로 지정하였습니다.
버튼 안의 글자 크기를 조정하기 위해서 font-size 속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버튼 안의 글자 크기 조정하기 10px 20px .small { font-size: 10px; } .big { font-size: 20px; }
input 필드의 스타일을 정의하는 방법을 알아보고 있습니다. [HTML/CSS] input 배경색, 글자색 변경하기 [HTML/CSS] input 커서 색상 변경하기 (caret-color) [HTML/CSS] input 커서 없애기 [HTML/CSS] input 테두리 아래만 남기기, 없애기 (border, outline) [HTML/CSS] input 클릭 시 테두리 색상 변경 이번에는 input 필드의 배경색을 투명하게 하는 방법입니다. background-color: transparent; background-color 속성의 값을 transparent로 지정하면, 배경색을 투명하게 합니다. 예제 .bg { background-color: yellow; } .no-bgcolor { backgro..